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배낭문제
- 정렬
- 그리디
- 대외활동
- 판다스
- 함수형 프로그래밍
- 안드로이드스튜디오
- 프로그래밍 언어론
- 리액트네이티브
- 컴퓨터알고리즘
- 백준2098
- 데이터 과학
- 컴퓨터공학과
- 코틀린
- 부동소수점
- 데이터과학
- 외판원순회
- H-모빌리티 클래스
- 탐색
- 앱심사
- 컴퓨터구조
- ios
- 카카오테크캠퍼스
- datapath
- cpp02
- 백준
- 분할과정복
- 알고리즘
- 개발
- 유전학알고리즘
Archives
- Today
- Total
minkylee
[이산수학] Homomorphism, Isomorphism (동형 사상) 본문
사상 (morphism)
수학적 구조를 보존하는 함수의 개념을 추상화한 것
말이 너무 어렵다.
사상은 수학에서 특정한 구조를 유지하면서 한 구조에서 다른 구조로 연결하는 함수이다.
어떤 규칙에 따라 두 수학적 대상이나 집합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한다.
- 집합의 사상은 일반적인 함수 -> 숫자 1을 2로 보내고, 3을 4로 보내는 규칙이 있을 때 이것도 하나의 사상이다.
- Group의 사상은 Group의 구조를 보존하는 함수이다.
- 예를 들어, 덧셈 구조가 있는 숫자 집합에서 덧셈 결과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다른 집합에 매핑한다.
- G에서 H로 가는 함수 f가 사상이 되기 위해서는 G에서의 덧셈이 H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.
- 덧셈을 먼저 하고 함수 f를 적용한 결과 f(a + b) 와
- 각각 f(a)와 f(b)를 구해서 그 둘을 더한 결과 f(a) + f(b) 가 동일
- 함수와 비슷하지만 함수보다는 더 일반적인 개념으로 본다.
- 함수는 일대일 , 다대일에 한정되어있음
- 사상은 일대일, 일대다, 다대일, 다대다 가능
- Mapping이라고도 함
종류
Endomorphism
- 변환을 시켰는데 나 자신과 같을 때
- G라는 group의 원소들을 G내의 다른 원소로 매핑
- ex) 함수 $f: \ Z_4 \rightarrow Z_4 $ 를 정의해서 $Z_4$의 원소들을 동일한 구조 내에서 다른 원소로 매핑
- $f(x) = 2x \ mod \ 4$
- f(0)= 0
- f(1) = 2
- f(2) = 0
- f(3) = 2
Automorphism
- Endomorphism에서 역함수가 존재해야 한다. (일대일 대응)
- Endomorphism의 subgroup
- 모든 원소가 유일하게 다른 원소에 대응되며 역함수가 존재하여 되돌리기 가능할 경우
- ex) 함수 $f: \ Z_4 \rightarrow Z_4 $
- $f(x) = 3x mod 4$
- f(0) = 0
- f(1) = 3
- f(2) = 2
- f(3) = 1
- 이 때 역함수는 $3x mod 4$ 가 된다.
Homomorphism
- $<G, \square>, \ <H, *> $ 가 있을 때 그룹 G에 속하는 모든 a, b에 대해 $f(a\ \square \ b) = f(a) * f(b) $
- ex)$<Z, +>$ 와 $<Z_4, +>$ 가 있을 때 $f: Z \rightarrow Z_4$ 를 정의한다.
- $f(x)$ = $[x]$ = $\{x + 4k \ | \ k \in Z \}$ : 정수 x를 모듈로 4한 값
- 정수 집합에 속하는 모든 a, b는, $\mathbf{f(a + b) = [a + b] = [a] + [b] = f(a) + f(b)}$를 만족한다.
- $f(7 + 5) = [7 + 5] = [12] = [0] = [7] + [5] = f(7) + f(5)$
- $f(7 + 5) = f(7) + f(5)$ 이므로 Homomorphism이다.
특성
$<G, \square>, \ <H, *> $ 가 각각 항등원 $\mathbf{e_G}$, $\mathbf{e_H}$ 를 가진다고 가정하자. $f : G \rightarrow H$ 가 Homomorphism이면 다음 성질들을 만족한다.
- $f(e_G) = e_H$ : 항등원은 항등원에 매핑된다.
- $f(a^{-1}) = [f(a)]^{-1}$ : a의 역원은 f(a)의 역원으로 매핑된다.
- $f(a^n) = [f(a)]^n$ : 거듭제곱은 동일한 성질을 가진다.
- $f(S)$ 가 H의 부분군이면 S는 G의 부분군이다.
- ex) $f: Z \rightarrow Z_4$
- f(0) = [0]
- f($5^{-1}$) = f(-5) = [-5] = [3] = $[1]^{-1}$ = $[5]^{-1}$ = $[f(5)]^{-1}$
- $[f(5)]^3$ = $[5]^3$ = [5] + [5] + [5] = [15] = $[5^3]$ = $f(5^3)$
Isomorphism
- 서로 다른 두 그룹의 일대일 대응 함수, 우선 Homomorphism을 만족해야한다.
- G의 모든 원소가 H의 고유한 원소로 매핑되고 모든 원소가 매핑되어야함
- ex) $f: <R^+, \cdot>\ \rightarrow \ <R, +>$ $f(x) = log_{10}(x)$ : 양의 실수, 곱셈 연산에서 실수, 덧셈 연산으로 매핑
- 양의 실수에 속하는 모든 a, b에 대해서
- $f(ab) = log_{10}(ab) = log_{10}(a) + log_{10}(b) = f(a) + f(b)$ : 곱셈의 로그 성질 만족
- 위는 일대일이며, 전사함수이다. 그러므로 $f$는 isomorphism이다.